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에서 이동평균선의 중요성 : 주식 차트 용어 , 주식공부, 투자

by MCR 2023. 2. 8.
반응형

주식투자 차트 이미지
주식투자 차트 이미지

안녕하세요, 머니캐쳐입니다.

이번글에는 이동평균선에 대해 적어보려 합니다.

주식차트 분석에서의 이동평균선이 얼마나 중요한지 끝까지 읽어 보신 후 

주식 투자에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동 평균선이란?

이동평균선은 특정 기간 동안 주식의 가격을 선으로 표시하는 추세 추종 지표입니다.

이동평균선은 정해진 일수 동안 주식의 종가 평균을 구한 다음, 그 평균을 차트에 표시하는 것 이죠

보통 5, 20, 60, 120일 선이 기본적으로 사용되며 이 외의 선은 본인의 투자 스타일이나 방식에 따라 맞춰서 표기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동 평균선 계산방법

이동 평균선을 계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각자 분석 중인 종목의 종가 데이터를 가져와서 며칠의 이동평균선을 구할지 결정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50일로 구해봅시다.

50일의 이동평균선을 계산하려면 50일 동안의 주식 종가 평균을 구해야 합니다. 

 

(주식 종가 총합) / 50 = 50일 이동평균선 (주식 종가 평균)

 

모든 주식의 종가를 다 더한 후 해당하는 일수로 나눠주면 되겠죠.

 

이동 평균선 분석

주식의 가격이 이동 평균선을  초과할 때 일반적으로 상승 추세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주식의 가격이 이동 평균선 아래에 있을 때 그것은 하락 추세에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은 향후 실적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주식의 가격은 예측할 수 없고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한다.

 

골든크로스

이동평균선 분석법엔 크로스 분석이 있는데 그중 골든 크로스는 간기 이동 평균선이 장기 이동 평균선 이상으로 교차하면서 올라갈 때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50일 이동 평균선이 200일 이동 평균선을 교차하면서 올라가는 것을 말하죠

 

이 교차점은 약세에서 강세로 추세가 바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장기적인 흐름이 상승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긍정적인 신호로 평가됩니다.

투자자들은 종종 가격이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하면서 이 신호를 시장에 매수하기 위한 매수 지점으로 사용합니다.

 

다만 이 골든크로스가 시장의 상승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은 다른 분석들과 종목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데드크로스

반대로 데드크로스는 단기 이동 평균선이 장기 이동 평균선 아래로 교차하며 낮아질 때 생기는 지표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50일 이동 평균선이 200일 이동 평균선을 교차하면서 내려가는 것입니다.

 

이 교차점은 골든 크로스와는 반대로 강세에서 약세로 바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장기적인 흐름이 하락세를 의미하는 부정적인 신호로 평가됩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데드 크로스를 메도의 타이밍으로 잡기도 합니다.

 

다만 데드 크로스도 시장의 방향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골든 크로스와 마찬가지로 다른 분석을 꼭 하시고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지지선 저항선

이동평균선은 지지선과 저항선의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주식 종목의 차트를 보시면 하락을 하다가 특정 이동 평균선을 터치하고 반등을 시도하거나

상승을 하다가 이동평균선을 터치하고 하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지지선과 저항선으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무조건 지지선과 저항선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종목마다 되는 경우가 있고 안 되는 경우도 있고 변수도 너무 많기 때문에 충분히 확인 후에 적용을 하셔야 합니다.

 

배열

배열은 말 그대로 각 이동평균선의 위치 배열을 의미합니다. 

보통 정배열이라고 해서 단기 이동평균선이 위에 있고 순차적으로 장기 이동 평균선으로 배열되게 되면 강한 상승세를

역배열인 장기 이동평균선이 위에 있고 단기 이동 평균선이 아래에 배열되면 강한 하락세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보자면 정배열은 위부터 5일선 10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 순으로 내려가게 되고

역배열은 120일선 60일선 20일선 10일선 5일선 순으로 내려가게 되죠

 

이러한 배열은 정배열의 경우 가장 최근의 단기적인 종가의 평균이 장기적인 종가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 이기 때문에

상승세를 의미하게 됩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겠지요.

 

 

지금까지 전반적인 차트분석 중 이동평균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러한 분석 방법들은 참고를 하시되 상승을 의미한다고 해서 무조건 매매를 해서는 안되고 하락을 의미한다고 해서 무조건 매도를 하셔도 안됩니다.

다른 차트 분석과 시장분석 종목분석이 다 되어있을 때 이 차트 분석을 결정하는 것에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